1. 역학

1) 유병률

당뇨병 환자수는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2045년에는 약 7억명 정도가 당뇨를 진단 받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ㄴ는데요.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시력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현재까지 여러 나라에서 서로 다른 인종과 인구 코호트 내 당뇨망막병증의 유병률을 보고하였고, 그 결과 당뇨망막병증의 유병률은 참여 인종, 분석 방법 및 시기에 따라 약 15.8~50.3%까지 매우 다양하게 확인되었습니다.

2) 발생률

4년 간 추적 결과당뇨망막병증의 발생률은 34.4~59.0%, 당뇨황반부종의 발생률은 1.3~4.3% 였으며 2.3~10.5%에서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10년간 추적 결과 당뇨망막병증의 발생률은 74%, 당뇨황반부종의 발생률은 13.9~25.4% 였으며 17%에서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제 1형 당뇨병 환자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당뇨망막병증 발생률 및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당뇨황반부종은 당화 혈색소가 높고 초기 검진 당시 당뇨망막병증 중증도가 심할수록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2. 발생기전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지속되는 고혈당으로 인해 망막 내 모세혈관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망막 전반에 걸쳐 허혈성 손상이 일어나 신생혈관이 발생하여 실명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허혈망막질환입니다.

The Impact of Family Medicine on Diabetic Eye Care, Screening Programs, Referral Patterns, and Outcomes - Scientific Figure on ResearchGate.

고혈당에 만성적으로 노출이 되면 세포 내에도 고혈당을 유발하여 혈관확장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혈관수축인자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모세혈관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생성도 촉진되어 혈관의 누출이 증가하게 되고, 점진적으로 망막혈관의 구조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망막혈관내피세포와 혈관주위세포가 소실되고, 비정상적인 성장인자의 증가가 세포외기질성분의 과잉생산을 촉진하여 기저막의 비후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는 망막모세혈관의 폐쇄와 망막의 비관류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망막허혈이 지속되면서 신생혈관이 생성되게 됩니다. 또, 혈관내피세포의 치밀결합으로 이루어진 혈액망막장벽이 손상되어 혈액성분이 누출되면서 망막이 붓게 되며 삼출물이 축적되어 시세포층의 기능손상이 일어납니다.

쉽게 말해서 정상적인 세포와 망막혈관의 구조적인 변화로 피가 덜 통하게 되고, 피가 통하지 않으니 영양분 공급이 잘 되지 않아 신생혈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혈액과 망막 사이의 장벽이 무너지고, 혈액 성분이 바깥으로 누출이 되면서 망막이 붓게 되고, 삼출물이 축적되면서 시세포층이 망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당뇨망막병증 초기 단계부터 망막신경퇴행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보고들이 이어지면서 당뇨망막병증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신경퇴행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